안녕하세요. 오늘은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에 관해서 무엇 무엇들이 있는지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1. 데이터베이스의 종류 DBMS는 데이터 저장 방법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오래된 순서로 몇몇 DBMS를 소개합니다. -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 역사가 오래된 DBMS로, 폴더와 파일 등의 계층 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의 데이터베이스입니다. 하드디스크나 DVD 파일 시스템을 이러한 계층형 데이터베이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DBMS로서 채택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관계 대수'라는 것에 착안하여 고안한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즉, 행과 열을 가지는 표 형식 데이터를 저장하는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가리킵니다. 여기서 표 형식의 데이터란 2차..
데이터베이스란? 우선, 데이터란 컴퓨터 안에 기록되어 있는 숫자를 의미하며, 이러한 데이터의 집합을 데이터베이스라고 합니다. - 넓은 의미의 데이터베이스 = 컴퓨터 안에 기록된 모든 것을 데이터베이스라고 합니다.- 통용되는 데이터베이스 = 특정 데이터를 확인하고 싶을 때 찾아낼 수 있도록 정리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라고 합니다. 1. 시스템 내의 데이터베이스 옛날에는 데이터베이스는 일반적으로 중앙 데이터 센터의 서버에서 운용했습니다. 하짐만, 현재는 데이터베이스가 개인용 컴퓨터나 휴대용 기기에 내장되어 사용되어집니다. 물론, 데이터 센터에 설치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웹 쇼핑을 하거나 무언가를 웹을 통해 예약해야 할 때는 웹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
안녕하세요. 서버와 클라이언트 개발을 진행하다 보면 종종 JSON 형식의 데이터를 통해 값을 주고 받습니다.json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형식이 유효한 형식인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해서 직접 확인하는 경우도 있었고, 포맷팅 해서 가독성이 좋게 변경하는 작업을 빈번하게 했습니다. 이러한 불편한 점을 구글링을 통해 찾던 도중 json 데이터 형식의 유효성 체크 및 가독성이 좋도록 변경해주는 사이트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1. jsonlint ( https://jsonlint.com )가장 대표적으로 json validator / formatter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용법은 확인을 하고 싶은 json 데이터를 다음과 같이 공백란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아래의 Validate JSON 버튼을 클릭하면 ..
안녕하세요. 오늘은 게시판을 개발할때, 키워드를 입력해서 검색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로그인 폼 개발 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 후 로그인 해야합니다. 이럴 때 해당 키워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 후 직접 마우스를 사용하여 (검색 및 로그인)을 하거나 엔터(Enter)를 쳐서 (검색 및 로그인) 을 합니다. 기본적으로 개발을 진행하다 보면 두 가지 경우를 다 처리해야 되는 상황이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개발을 진행하다 보니 enter키 처리 상황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그 현상은 enter키를 눌렀을 때, ajax를 통해 form의 정보를 가지고 submit이 작동하게 되면 화면이 reload 되는 현상입니다. 우선 간단한 예제를 통해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bt..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바 에러코드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여러가지의 에러코드에 대해서 알아보고오류가 발생했을때 찾아볼 수 있도록 처리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RROR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NoClassDefFoundErroe:파일명 발생되는 경우 클래스 파일을 찾을 수 없는 경우 해결 방법 실행하려는 클래스 파일 이름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CLASSPATH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며(DOS Mode에서 set 명령어) 만약,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면 설정한다.(CLASSPATH = jdk버전번호/jre/lib/rt.jar;) ERROR cannot resolve symbol symbol : class in(에..
안녕하세요. 오늘은 개발을 하면서 기본적인 변수 네이밍 규칙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기본으로 잘 알고 있는 카멜 표기법(camel case)을 주로 알고 사용하고 있었는데 검색을 해보니 여러가지의 변수 네이밍 규칙이 있어서 정리해봤습니다. - 헝가리안 표기법(hungarian case)- 카멜 표기법(camelcase)- 파스칼 표기법(pascal case)- 언더바 표기법(snake_case) 아래의 각 표기법의 설명 및 예제를 통해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1. 헝가리안 표기법(hungarian case)Microsoft 사의 한 헝가리인 개발자가 사용하던 변수명에서 유래된 변수명입니다.변수의 자료형을 변수명의 접두어로 붙이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변수명만 보고 자료형을 인식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ajax를 사용해서 json 또는 gson으로 데이터를 가져와서 화면에서 데이터를 출력해 줄때 한글로 된 데이터가 '?'와 같이 출력되면서 한글이 깨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했을때 해결 방안에 대해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전제 조건 : 스프링 프레임워크 3.1 이상 버전 사용, 그 이하 버전에서는 다른 방법으로 해결해야됩니다.) 우선, ajax를 통해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코드를 보겠습니다. /** * gson 샘플 코드 */ @RequestMapping(value="/sample") @ResponseBody public String sampl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
안녕하세요. 오늘은 gson 사용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gson은 json을 조금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글에서 만든 json 관련 라이브러리입니다. gson을 사용하면 자바 객체를 json으로 또는, json을 자바 객체로 쉽게 변환시켜 주기 때문에 아주 편리한 기능입니다. 우선, pom.xml의 다음과 같은 dependency를 추가 합니다. com.google.code.gson gson 2.3 다음은 자바 코드에서 gson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예제를 통해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화면 상에서 ajax를 이용해 예제 리스트를 호출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document).ready(function() { var params = $("#testFrm")..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