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APR 및 tomcat native library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APR이란 Apache Portable Runtime의 약자이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됩니다. 참조 : https://tomcat.apache.org/tomcat-8.0-doc/apr.html 그리고, tomcat connector는 2개로 나뉘에 집니다. 하나는 AJP(Apache Jserv Protocol) Connetor이고 다른 하나는 HTTP Connector이며 간략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AJP Connector Apache와 같은 Web Server를 거쳐서 요청을 받는 경우 사용, HTTP보다 성능이 좋은 Binary 기반의 Protocol로 동작 HTTP ..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제 설명드린 형상관리도구 중 하나인 Git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1. 우선, https://git-scm.com/ 에 접속 후 다운로드 받습니다. 2. 다운로드 받은 installer를 실행시켜 설치 가이드가 뜨면 Next를 눌러 줍니다. 3. 경로를 설정하고 Next를 눌러줍니다. 4.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왔을 때도 Next를 눌러 설치를 진행해줍니다. 5. 다음 화면이 나왔을 때 default로 설정된 Git을 확인하고 그대로 Next를 눌러줍니다. 6. 다음 화면에서 Use Vim을 선택하고 Next를 눌러줍니다. 7. Use Git from Windows Command Prompt를 선택 후 Next를 눌러줍니다. 8. Use OpenSSH를 선택 ..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CentOS)에 tomcat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tomcat의 다운로드 사이트 : https://tomcat.apache.org/download-80.cgi 1. 우선, CentOS에 접속을 합니다. 전 putty를 사용해서 접속하고 cd /usr/local/ 명령어를 사용해서 local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톰켓은 usr디렉토리 밑에 opt 디렉토리에 설치해도 되나, 보통 local 디렉토리에 설치한다고 합니다. 2. wget http://apache.tt.co.kr/tomcat/tomcat-9/v9.0.4/bin/apache-tomcat-9.0.4.tar.gz위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톰켓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3. tar xzf apa..
안녕하세요. 오늘은 Git이 무엇인지에 관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대학교 때 조를 만들어서 프로젝트를 진행해 본 적이 있습니다. 만약 개인 프로젝트나 2명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메신저나 이메일을 통해서 최신 소스코드를 주고 받으면서 개발을 진행하는데 문제가 없지만,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지면, 소스코드의 최신판을 관리하기란 매우 어렵습니다. 또한 프로젝트가 끝나더라도 계속적인 유지보수를 할 필요성이 있기에 최신판의 소스코드를 관리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하는 프로젝트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도구가 바로 형상관리도구(configuration Management Tool) 또는 버전관리도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오늘날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형상관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를 실습하거나 프로젝트를 통해 리눅스를 사용해서 서버 세팅을 할때 자주 사용하던 RPM과 YUM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또한, 저도 잘 알고 있지 못하기에 공부 겸 정리해 놓으려고 합니다. 그럼, 오늘은 RPM 및 YUM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및 예제를 알아보겠습니다. 1. RPM이란? RPM은 Redhat Package Manager의 약자로 Windows를 예를들면 setup.exe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에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설치 파일을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설치파일의 확장명은 *.rpm이며, 이를 패키지라고 부르기도 합니다.RPM은 패키지 인스톨을 하기 위해서 그 패키지의 필요 요소를 전부 따로 다운로드해야 하는 번거로..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CentOS)에서 java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리눅스에 접속 후, cd opt라는 명령어를 통해 opt라는 폴더 밑으로 디렉토리를 변합니다. 그리고 최신 버전의 자바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1. java 다운로드wget --no-cookies --no-check-certificate --header "Cookie: gpw_e24=http%3A%2F%2Fwww.oracle.com%2F; oraclelicense=accept-securebackup-cookie" "http://download.oracle.com/otn-pub/java/jdk/9.0.4+11/c2514751926b4512b076cc82f959763f/jdk-9.0.4_linux-x..
안녕하세요. 오늘은 CentOS에서 아파치(웹 서버)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아직 리눅스 명령어 등에 대해서 잘은 모르지만, 설치 했던 방법을 나중에 다시 보거나 공유하기 위해서 포스팅을 남기려고 합니다. 우선, 전에 설치했던 vmware에 접속 후 root 아이디로 로그인을 합니다. 그리고 리눅스에서는 yum이라는 명령어가 있는데, yum이라는 것은 패키지 파일 즉, rpm 파일을 설치 및 삭제, 업데이트 하는데 있어 rpm 명령어보다 훨씬 쉽고 간편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yum이라는 명령어는 CentOS에서 사용되며, 우분투나 데비안에서는 apt-get이라는 명령어로 사용되며 사용 방법은 같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yum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apach..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 vmware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그 vmware 위에 리눅스(Linux)를 설치해보려고 합니다. 리눅스 종류는 크게 데비안 계열(ubuntu 등)과 레드헷 계열(fedora, centos 등)이 있는데, 오늘은 vmware에 centos 7 이미지를 만들어서 구동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https://www.centos.org/download/ 로 접속한 뒤, minimal ISO를 클릭해 다운로드 받습니다.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면 원하는 것을 클릭해서 다운로드 받습니다. (참고로 kakao 쪽이 제일 빨리 다운로드가 된것 같습니다.) 그리고 나서 vmware를 켜고 Create New Virtual Machine..
- Total
- Today
- Yesterday